윈도우 10을 이용하면서 작업표시줄에 있는 시계에 초 단위가 표시되면 좋을 때가 종종 있다.
기본적으로는 표시되지 않게 설정되어있는데, 표시하는 방식이 초간단은 아니라서 올려본다.
1. regedit 수정
- 윈도우 작업표시줄의 검색창에 'regedit'을 입력하여 '레지스트리 편집기' 를 실행하거나,
키보드로 Win + R 을 입력하여 '실행' 창을 열고 'regedit'을 입력하여 실행한다.
- \HKEY_CURRENT_USER\SOFTWARE\Microsoft\Windows\CurrentVersion\Explorer\Advanced
위 경로로 진입한다.
- 해당 폴더의 빈 공간에 우클릭하여 '새로 만들기' -> 'DWORD(32비트) 값' 을 클릭한다.
- 해당 값의 이름을 “ShowSecondsInSystemClock” 으로 지정한다.
- 만들어진 데이터를 더블클릭하여, 값 데이터를 1로 변경한다. (단위는 16진수)
2. Windows 탐색기 재실행
- Ctrl + Alt + Del 키로 '작업 관리자' 를 실행한다. 혹은 사진처럼 시작 표시에 우클릭하여 실행해도 된다.
- 작업 관리자에서 'Windows 탐색기' 를 찾아 우클릭 하여 '다시 시작' 을 클릭한다. 혹은 'Windows 탐색기'를 클릭하여
작업 관리자 우측 하단의 '다시 시작' 버튼을 클릭해도 된다.
3. 완료
- Windows 탐색기를 재시작하면 작업표시줄 시계에 초 단위가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(표시되지 않을 경우 regedit 수정 과정에서 오타가 없는지 확인)
혹시 질문이 있다면 아는 선에서 답변드리겠습니다.
수수료를 제공받는 포스팅조차 경험이 없는 내용으로는 적지 않습니다.
지식이 짧더라도 길게 생각하여 적겠습니다.
- 베이직샾
'짧지글 - 짧은 지식으로 적은 글 > IT 짧지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리눅스 OS, 사양, 환경 정보 확인 명령어 모음 // 내가 보려고 씀 (0) | 2022.04.10 |
---|---|
Gmail 수신 여부 확인 방법 // 지메일 팁 (0) | 2022.03.28 |
엑셀 시간 자동 채우기가 틀릴 때 // 엑셀 팁 (0) | 2022.03.25 |
톰캣 설치 경로 모를 때 버전 확인하는 방법 // Tomcat version check (0) | 2022.03.16 |